1만 시간의 재발견[1]으로 알려진 안데르스 에릭슨은 의도적인 수련(Deliberate Practice)으로도 알려져 있다. 자신의 전문성을 키우기 위해 의도적으로 따로 연습하는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개발자 혹은 자신의 전문성을 키우고 싶은 사람으로서 수련하는 방법의 좋은 예로 김창준님의 Facebook 포스트[2]를 보고, 조금 더 추상화 부분을 정리해 보았다. 그리고, 최근 그릿[3]을 읽으면서 알게 된 부분도 같이 붙여 메타인지를 해보자.
김창준님개발자의 의도적 수련 활동:
- 새로운 도구, 기술, 코드, 기법을 시도해 보고 그 결과를 관찰, 분석해 보기
- 개발 관련된 저널과 잡지, 책을 읽기, 개발 관련해 인터넷을 훑어보기, 관련된 비디오를 보기 등
- 개발 관련 세미나, 워크숍, 교육과정, 컨퍼런스 등에 참석하기
-
다른 동료 혹은 회사 밖의 사람의 코드나 작업물를 구경하거나, 다른 동료(개발자 외에도 QA 담당자라든지)가 일하는 방식을 주의 깊게 관찰해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기
피드백 찾기(Feedback-seeking): 피드백을 받는 것은 쉽지 않다. 그래서, 그 부분을 찾고 다르게 일해 본다.
- (회사 내외의) 다른 개발자나 도메인 전문가의 의견을 묻기, 남에게 배우기 위해 네트워킹하기, 새로운 도구, 기술 등에 대해 동료와 이야기하기
- 나의 고객(내게 일을 주는 사람 -- 기획자, 운영자, 다른 개발자 등)에게 다가가서 피드백을 달라고 하기, 그 고객들의 니즈에 대해 묻기 등
- 어디에 개선이 필요한지 다른 직원들과 브레인스토밍 하기
- 사석에서 친구랑, 혹은 배우자나 다른 사람과 개발 일에 대해 이야기하며 새 아이디어를 얻기
- 다른 사람의 업무에 대해 배우기 위해 그 사람을 도와주기
- 현재 코드의 상태를 점검해서 어디가 장차 문제가 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코드 품질을 확인해서 개선할 방법을 찾기 등
- 내가 조금전, 오늘 혹은 이번주에 했던 일들을 복기하며 반성해 보고 실수한 것은 무엇인지, 다음에는 어떻게 하면 좋을지 생각하고, 다음을 위한 행동 계획 짜기
- 이미 개발한 프로그램을 더 잘 만들 요량으로 다른 방법으로 처음부터 다시 개발해 보기
- 이미 개발했고, 기능상 문제가 없지만 리팩터링 등을 통해 코드 구조를 더 개선하거나, 성능상 문제가 없으나 자신만의 더 나은 성능기준을 목표로 개선하기
- 반복되는 작업을 자동화해서 거기에 드는 시간과 노력, 실수여지를 줄이기
Grit의 내용
그릿[3]에서는 최고가 되고 싶으면 '의식적인 연습(deliberate practice)'을 수천, 수만 시간동안 하면 된다. 그러면서, 전문가들의 연습 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전체 기술 중에서 아주 일부분에 집중한다. 이미 잘하는 부분 보다는 뚜렷한 약점을 개선하려고 노력한다. 아직 도달하지 못한 과제에 도전하는 것이다.
- 도전적인 목표 설정 뒤에는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온전히 집중하고 비상한 노력을 한다. 음악가 같은 경우는 혼자 연습하는 시간이 다른 음악가와 함께 연주하는 시간보다 많다.
- 가능한 빠른 피드백을 받고 싶어 한다. 부정적인 내용이 많다. 자신이 잘한 부분 보다 틀린 부분에 더 관심이 많은 것이다.
이 내용을 조금 더 구체화한 것이 김창준님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
결론은?
앞에서 이야기 한것 처럼 그릿에서 의도적 수련에 대해 정리하고 있다. 개발자의 입장에서는 김창준님의 구체적인 수련 방법을 참고하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른 업무를 한다면? 추상적인 것을 통해서 자신의 업무를 대입해보는 것도 좋겠다.
참고 문헌
[1] 안데르스 에릭슨, "1만 시간의 재발견" 노력은 왜 우리를 배신하는가
[2] 김창준, "개발자의 의도적 수련," https://www.facebook.com/cjunekim/posts/5465539236807932
[3] 앤절라 더크워스, "그릿 GRIT", 비즈니스북스, 2016년 10월
'Technical Leadersh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술 부채(Technical Debt) (0) | 2024.06.22 |
---|---|
협업적 문제 해결 방법 - 함께 자라기 (0) | 2023.07.10 |
살리고 글쓰기 (4) | 2023.03.12 |
책 읽기: 효과와 효율 (3) | 2023.03.05 |
다니엘 핑크: 후회의 재발견 (0) | 2023.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