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급격히 발전하기 시작한 배경에는 모델 학습 효율을 높이는 다양한 시도도 중요했지만, GPU·TPU 같은 하드웨어 성능의 도약과 학습 데이터의 폭발적 증가가 있었다. 즉, 모델 크기·데이터 규모·연산량이 함께 커지는 **Scale**의 증가가 큰 역할을 했다고 본다. 이는 AI 발전에서 자주 언급되는 Scale의 법칙(Laws of Scale)과 맞아떨어지는데, 이 법칙은 모델 크기·데이터 양·연산량이 일정 비율로 커지면 성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된다는 경험법칙을 말한다. 물리적 한계에 비유하자면, 지구의 가장 큰 포유류가 고래이고 그 이상 커지기 어려운 것처럼, 일부 연구자들은 이제 LLM도 Scale의 법칙만으로는 더 큰 발전을 이루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최근 GPT-5가 발표되었지만, 일부에서는 “이제 발전이 멈춘 것 같다”는 이야기를 한다. 아마도 이러한 Scale의 법칙 한계 지적이 배경에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나는 조금 다르게 본다. GPT-4 시기부터 멀티에이전트적 활용 가능성과 내부 조율 기능이 강화되기 시작했고, GPT-5에서는 이를 한 단계 발전시켜 실시간 라우터가 요청을 분석해 여러 전문 모델(에이전트)에 작업을 자동 배분하는 구조를 도입했다고 OpenAI와 외부 분석에서 전한다. 이는 마치 CPU가 작업 특성에 따라 고성능 코어(P-core)와 저전력 코어(E-core)를 선택하는 멀티코어 아키텍처와 비슷하다.
그렇다면 다음은 무엇일까?
CPU가 슈퍼스칼라, 멀티코어, 하이브리드 구조로 발전해온 것처럼, AI 모델도 구조적 돌파구를 찾으며 또 한 번의 Breakthrough를 만들까?
아니면 지금과는 완전히 다른 패러다임의 아키텍처가 등장할까?
그 방향이 어디로 향할지는 아직 알 수 없지만, 분명 흥미롭고 기대되는 시점이다.
참고 자료
'Machine Lear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내의 ChatGPT 사용을 보며 (10) | 2025.08.06 |
---|---|
머신러닝과 기존 기술 (1) | 2024.08.21 |
LLM으로 문제 해결하기 (0) | 2024.08.07 |
LLM의 RAG을 위한 개념: 임베딩 모델, 벡터 데이터베이스 (0) | 2024.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