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결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혼자서 열심히 고민하여 문제 해결 하는 방식도 있지만, 팀으로서 협력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이다. 하지만, 현실은 늘 항상 들어 맞는 정답은 없다. 그래도, 성공적인 팀-협업적(Collaborative)으로 일하는 팀이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한다.

 

여기서는 김창준님의 함께 자라기[1]에서 이야기하는 소프트 스킬, 협력적 추상화, 그리고 전문가를 어떻게 팀으로 데려와 성공할 수 있는가의 측면에서 살펴 보자

하드 스킬(Hard Skill) vs 소프트 스킬(Soft Skill)

우리는 많은 경우, 특정 도메인에서 일을 한다. 전자 상거래, 소셜 미디어, 멀티미디어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이렇게 한 분야에서 일을 하다 보면 그 분야, 즉 도메인 지식(Domain Knowledge)가 증가한다. 뿐 만 아니라, 개발자라면 컴퓨터 언어, 자료 구조, 알고리즘과 같은 개발과 관련돈 공통된 지식도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것은 우리가 문제를 해갈 하기 위한 기술 하드 스킬(Hard Skill)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혼자서 일한다고 하면 이 하드 스킬만 키우면 문제 없다. 하지만, 우리가 여러 사람들과 일하게 되면 여러가지 다른 기술이 필요해 진다. 즉, 사회 생활을 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본과 기술이 필요하다고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 하면 커뮤니케이션과 협업 능력과 같은 소프트 스킬(Soft Skill)이 중요하다. 숙련된 프로그래머/개발자들에게 이야기 들어 보면 이러한 소프트 스킬을 높이는 것도 강조하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 부분은 뒤에서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본이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협력을 통한 추상화(Collaborative Abstraction)

대니얼 슈와르츠[2]의 연구에서는 한 명이 문제를 푸는 것 보다 두 사람이 문제를 푸는 차이에 대해서 설명하면서 두 사람이 문제를 푸는 경우가 문제 해결에서 추상화를 통해서 새로운 것을 발견하도록 도와 준다고 한다. 이는 둘이서 협력(Pair-work)하면서 다른 시각(perspective)를 받아 들이고, 이를 연결하기 위한 추상화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추상화는 단순히 서로를 이해하게 하기 위한 것 뿐 아니라 문제를 바라 보는 단계를 높인다. [1]에서 언급하듯이 전산학의 소프트웨어 공학나 많은 학문이 그렇듯이 이 추상화를 거쳐서 발전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러한 추상화를 더욱 일어나게 하기 위해서 협업을 해야 한다. 

전문가와 일하는 방법 (How to bring experts)

우리가 특정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려면 전문가를 데리고 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라는 것은 예측하기 쉽다. 하지만, 여기에는 함정이 있다. 울리의 연구[3]를 보면 전문가와 일하되, 협력적으로 조율(Coordination)하고 통합(Integrate)하라고 가이드 한다. 

 

그의 연구에서는 전문가 혹은 비전문가 팀이 협업을 하는지 하지 않는지를 나누어 비교 연구하였다. 즉, 다음과 같이 그룹을 나누었다.

1. 전문가 협업 개입

2. 전문가 비협업 개입

3. 비전문가 협업 개입

4. 비전문가 비협업 개입

 

어느 팀의 성과가 가장 좋았을까? 그렇다 전문가 협업이 가장 좋았다. 그렇다면, 꼴지팀은 어디였을까? 전문가 비협업이었다는 것이 매우 흥미롭다. [1]에서는 전문가를 데리고 오더라도, 정보를 공유하고 협력을 잘하기 위한 명시적인 도움이 필요하고 소셜 스킬이 뛰어난 제너럴리스트가 있으면 도움이 된다고 조언한다.

 

참고 문헌

[1] 김창준, "함께 자라기- 애자일로 가는 길", 인사이트 · 2018년

[2] D. L. Schwartz, "The emergence of abstract representations in dyad problem solving",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995

[3] A. W. Woolley, et al. "Bringing in the experts: How team composition and collaborative planning jointly shape analytic effectiveness." Small Group Research 39.3 (2008): 352-37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