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하지만 단순하게(Simply Complexity)"[1], 이 책은 복잡계 삼인방이 읽은 책 중 단 한 권만 골라 추천할 것이라는데 동의한 책이다. 어려운 내용을 꿰뚫는 정리와 다양한 사례가 포함되어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흥미를 가지고 살펴볼 수 있는 책이다. 많은 복잡계 책이 다루고 있는 바이러스, 도시, 전쟁, 물리학 그리고 금융에서의 다양한 사례가 설명되어 있다.

이 책에서는 여러 책에서도 채용하고 있는 복잡성 과학 정의를 채용하는데, "상호작용"하는 "개체"들의 집합에서 "창발"하는 현상에 대한 연구가 그 것이다. 사실 복잡계가 무엇이라 정의하는 것 보다는 우리가 보는 "현상"을 가지고 정의하는 것이 흥미롭다. 또한, 흥미로운 것은 현실 세계에서의 복잡성 사례 대부분은, 여러 존재들이 식량, 공간, 에너지, 권력, 부 등 "한정된 자원을 놓고 경쟁하는 상황"이 핵심이라고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나는 이 부분이 가장 다른 책들과 다른 부분이라 생각한다.

좀 더 상세한 복잡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복잡계는 다수의 상호작용 하는 개체, 또는 행위자(agent)의 집합체를 포함한다.
2. 개체들의 행태는 '기억' 또는 '되먹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과거가 현재의 의사결정에 되먹임(feedback)되었다.
3. 객체들은 과거 이력에 따라 그들의 전략을 조정할 수 있다.
4. 복잡계는 일반적으로 '열려' 있다. 흥미로운 것은 대조적으로 우주는 닫혀 있다.

앞에서 언급한 복잡계가 "한정된 자원을 놓고 경쟁하는 상황"이라는 부분은 대부분의 복잡계 책에서 다루는 상황이다. 이 책이 특이한 부분은 이렇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 연결, 즉 복잡계 네트워크 특징에 대해서 언급하는 부분이다. 즉, 자원이 많지 않은 집단에서의 네트워크는 집단 구성원 사이에 약간의 상호연결만 더해 줘도 성공적인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 사이의 격차는 커지고 평균적인 성공률도 떨어진다고 한다. 예로 보면 후진국(60년대 한국, 멕시코 등)에서는 빈부 격차 확대, 독점 현상 발생하는 것을 살펴 볼 수 있다. 반대로는 자원이 풍부한 집단을 생각할 수 있다. 상호연결성이 낮으면 평균 성공율 높아지고, 대부분의 구성원이 성공하지만 상호연결성이 높으면 전체적인 공정성이 높아지고 성공율 격차가 작아진다.
선진국이라고 할 수 있는 유럽에서 이런 부분을 살펴 볼 수 있다.

7장 "교통 네트워크와 기업의 사다리"에서는 팀과 더글라스의 수레 바퀴에 비유하는 바퀴통-바퀴살 네트워크가 흥미로웠다. 이는 바퀴통에 해당하는 바깥 고리 위에서 바퀴살을 이용하여 두 점 사이 이동에 최단 이동 시간 계산하는 수학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는 바퀴살, 즉 도로의 수 최적화 가능한 것에 대해 이야기한다.  흥미로운 것은 이 모델로 구한 답은 하나가 아닐 경우도 많다. 그렇다면, 어느것이 '정답'일까? 이 모델을 제안/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한 연구자들은 모두가 답이라는 의견이다.

9장에서는 앞에서 언급한 바퀴통-바퀴살 모델을 전쟁의 전략으로도 응용하고 있다. 비유로 늑대로 부터 양 때를 보호하는 개의 입장에서의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 이는 외부의 바퀴통에서 안의 바퀴통으로 가는 바퀴살의 숫자에 따라 다른 전략을 쓰는 것이 핵심이다. 우선 크게 공세적 방어와 수세적 방어로 나누어 이야기 한다. 공세적 방어는 개가 공격자를 공격함으로써 목표 대상을 방어하는 것이다. 이 것은 개, 양, 늑대의 수가 적을 수록 공격이 최선의 방어라는 측면이다. 늑대가 소수라면 추적하여 공격하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라는 것이다. 수세적 방어라는 것은 보호 대상에 바싹 붙어서 방어하는 것이다. 보디가드가 VIP를 보호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응적 전략이 유요할 수 있겠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복잡계의 정의, 사례 그리고 복잡계 네트워크까지 그리고, 자원의 다양성과 같은 상황에 따른 설명까지 폭넓은 시야를 제공하는 것이 이 책의 장점이다.

 

참고문헌

[1] 닐 존슨, "복잡하지만 단순하게 - 복잡한 세상에도 패턴은 있다", 한국복잡계학회 (옮긴이), 바다출판사 2020-02-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