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디지털 시대에 WiFi는 기술 발전의 증거로서, 우리 일상에 자연스럽게 통합되어 있다. WiFi의 여정은 1997년 802.11 프로토콜로 시작되었지만, 1999년 802.11b 표준이 도입된 후에야 WiFi 기술이 진정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 기술은 기존 로컬 영역 네트워크를 무선으로 확장할 수 있는 간단하고 저렴한 수단을 제공한다.
WiFi 표준의 진화
WiFi는 Ethernet에 무선을 고려하며 만들어져서 아래 그림과 같이 L1, L2의 표준화를 통해서 이루어 졌다. 이로 인해 Ethernet의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즉 공유 채널을 사용하는지 확인하는 것은 동일하게 사용한다. Ethernet의 경우는 Collision Detection 즉, CSMA를 하지만 보낼 수 있으면 바로 보내고 다른 쪽과 충돌이 발생하면 Random한 Interval을 가지고 다시 시도하는 반면, 무선은 CSMA를 하지만 Collision Avoidance를 하기 위해서 채널이 비어 있는 상황에서만 시도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WiFi 기술은 누구나 접근할 수 있고 비용 효율적인 비허가 ISM 스펙트럼에서 운영된다. 802.11b에서 802.11ac와 같은 더 정교한 프로토콜로의 진화는 지속적으로 높은 처리량과 고급 변조 기술을 추구함으로써 WiFi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다.
802.11 표준 가족은 802.11b부터 802.11n, 802.11ac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이는 우리의 증가하는 데이터 전송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 표준들은 점진적으로 20MHz에서 최대 160MHz까지 대역폭을 확장하고 MIMO 기술을 도입하여 WiFi를 단순한 연결 옵션에서 강력한 네트워크의 중추로 전환시켰다.
WiFi 문제 극복
그럼에도 불구하고, WiFi는 특히 여러 네트워크가 겹치는 밀집된 도심 환경에서 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 이는 혼잡과 성능 저하로 이어진다. WiFi를 쉽게 배포할 수 있는 매우 단순함이 오히려 취약점을 초래하기도 하며, 간섭 및 예측 불가능한 네트워크 부하와 같은 문제를 포함한다.
WiFi는 대역폭이나 지연 시간을 보장하지 않으며, 그 성능은 주변 환경에 크게 좌우된다. 802.11n 표준의 프레임 집약과 802.11ac의 5GHz 대역 적응과 같은 혁신이 일부 문제를 완화했지만, 공유 채널 접근과 간섭의 근본적인 도전은 여전히 남아 있다.

WiFi 사용 최적화
WiFi 배포를 이해하고 최적화하는 것은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혼잡하지 않은 대역에서 다른 사용이 확인되지 않은 대역폭**을 활용하거나 **가변 대역폭**을 사용하는 것은 서비스 중단을 방지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데이터 집약적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WiFi 오프로딩과 같은 전략을 사용하면 네트워크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성능을 유지하고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미래 방향
앞으로 WiFi 표준과 지속적인 개선이 필수적일 것이다. 서비스 품질을 애플리케이션 수준에서 향상시키는 혁신과 공유 네트워크 리소스의 관리 방법이 WiFi의 다음 단계를 정의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WiFi가 우리 네트워크 인프라의 핵심 요소가 되었지만, 그 복잡성을 이해하고 전략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그 잠재력을 진정으로 활용하기 위해 필요하다. 더 연결된 미래를 향해 나아가면서, WiFi의 역할은 의심할 여지 없이 확장될 것이며, 우리가 서로 연결된 세계의 증가하는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더욱 정교한 솔루션을 요구할 것이다.
참고자료
[1] 일리아 그리고릭, "구글 엔지니어에게 듣는 네트워킹과 웹 성능 최적화 기법", 정해권, 오현주 공역, 인사이트(insight)
[2] High Performance Browser Networking Ch5 Ch6, https://docs.google.com/presentation/d/1WCDXTVjy9hoou3Ehjz-meoZQUJoPEjc-hGLCPGOkh3M/edit?usp=sharing
'Multimedia Network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High Performance Browser Networking: Ch 05 무선네트워크소개 (0) | 2025.03.05 |
---|---|
High Performance Browser Networking: Ch 04 전송계층보안(Transport Layer Security) (0) | 2025.02.12 |
High Performance Browser Networking: Ch 03 UDP의구성요소 (0) | 2025.02.05 |
High Performance Browser Networking: Ch 02 TCP의구성요소 (1) | 2025.01.29 |
High Performance Browser Networking: Ch 01 Latency와 Bandwidth (0) | 202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