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와 같은 AI만 쓰다보면, 나의 학습은 점점 멀어 질 수 있다. 반대로도 걸어가 본다는 의미로 이야기한 부분을 상세히 살펴 보자. 나와 관련된 부분이 있기 때문에 학습 동기는 높을 수 밖에 없다.
 
React  App.tsx
You said:
"나는 React, Tailwind, Typscript에 대해서 잘 몰라. 다음 코드에 대해서 한줄 씩 쉽게 설명해줘."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import reactLogo from './assets/react.svg'
import viteLogo from '/vite.svg'
import './App.css'
function App() {
  return (
    <div className="min-h-screen flex items-center justify-center bg-gray-100">
      <h1 className="text-4xl font-bold text-blue-600">
        Tailwind 적용 성공!
      </h1>
    </div>
  );
}
ChatGPT said:
물론입니다! 아래는 해당 코드를 React, Tailwind, Typescript를 처음 접하는 분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줄씩 설명한 것입니다.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 React에서 제공하는 기능 중 하나인 useState를 가져옵니다.
(※ 이 코드에서는 실제로 사용하지 않지만, 보통 컴포넌트 안에서 상태(state)를 관리할 때 사용됩니다.)
아래는 React의 대표적인 기능들을 간단한 설명과 함께 표로 정리한 것입니다.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실제 쓰임새 중심으로 소개할게요.
✅ React 주요 기능 요약표
| 기능명 | 설명 | 사용 예 | 비고 | 
| useState | 상태(state)를 관리하는 데 사용됨. 사용자가 클릭하거나 입력할 때 데이터를 저장.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 함수형 컴포넌트 전용 | 
| useEffect | 컴포넌트가 화면에 나타날 때나 값이 변경될 때 동작하게 함. | useEffect(() => { fetchData() }, []) | 비동기 API 호출, 구독 처리 등 | 
| props | 부모 컴포넌트가 자식에게 값 전달할 때 사용됨. | <Button label="확인" /> | 읽기 전용 (수정 불가) | 
| useRef | DOM에 직접 접근하거나 값 저장용으로 사용됨 (렌더링과 무관한 값 저장). | const inputRef = useRef(null) | 포커스 제어, 이전 값 기억 등에 사용 | 
| useContext | 컴포넌트 여러 개에서 공통 데이터 공유시 사용 (예: 다크모드, 로그인 정보 등). | const theme = useContext(ThemeContext) | Redux 없이 전역 상태 공유 가능 | 
| useReducer | useState보다 복잡한 상태 로직을 관리할 때 사용됨. | useReducer(reducer, initialState) | Redux와 비슷한 구조 | 
| useMemo | 계산이 무거운 값을 메모이제이션해서 성능 최적화함. | useMemo(() => calcHeavy(val), [val]) | 동일한 계산 반복 방지 | 
| useCallback | 함수 재생성을 방지해서 렌더링 최적화. | useCallback(() => doSomething(), [deps]) | 자식 컴포넌트 성능 향상 | 
| useLayoutEffect | useEffect와 유사하지만 화면 그리기 전에 실행됨. | useLayoutEffect(() => {...}) | DOM 위치 조정 등 | 
| React.memo | 컴포넌트 자체를 메모이제이션해서 불필요한 리렌더링 방지. | export default React.memo(MyComponent) | 고성능 컴포넌트에 유용 | 
📌 기본 개념 정리 (보너스)
- 컴포넌트(Component): UI의 재사용 가능한 단위 (function MyButton() { return <button>Click</button>; })
- JSX: HTML과 비슷한 문법으로 UI를 선언 (<div>Hello</div>)
- Virtual DOM: 변경된 부분만 실제 화면에 적용하는 방식 → 빠른 렌더링
import reactLogo from './assets/react.svg'
➡️ 현재 프로젝트 폴더의 assets 폴더에 있는 React 로고 이미지를 불러옵니다.
(※ 이 이미지도 이 코드에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보통 화면에 보여줄 때 쓰입니다.)
import viteLogo from '/vite.svg'
➡️ Vite라는 개발 도구의 로고 이미지도 불러옵니다. /vite.svg는 루트 경로를 기준으로 합니다.
import './App.css'
➡️ App.css라는 스타일 파일(CSS)을 불러옵니다. 이 파일에 정의된 스타일이 이 컴포넌트에 적용됩니다.
function App() {
➡️ App이라는 이름의 함수형 컴포넌트를 정의합니다. React에서는 UI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입니다.
 return (
➡️ 이 함수가 어떤 화면을 보여줄 것인지를 JSX라는 문법을 사용해서 정의합니다. (HTML과 비슷해 보입니다)
    `<div className="min-h-screen flex items-center justify-center bg-gray-100">`
➡️ <div>는 화면을 구성하는 상자이고, className에 들어있는 건 Tailwind CSS 클래스들입니다:
- min-h-screen: 화면 높이만큼 최소 높이를 줍니다.
- flex: 내용을 가로/세로 정렬하기 위해 flexbox 레이아웃을 사용합니다.
- items-center: 수직 방향으로 가운데 정렬합니다.
- justify-center: 수평 방향으로 가운데 정렬합니다.
- bg-gray-100: 배경색을 연한 회색으로 지정합니다.
      `<h1 className="text-4xl font-bold text-blue-600">`
➡️ 제목을 나타내는 <h1> 태그입니다. 역시 Tailwind 클래스로 꾸밉니다:
- text-4xl: 글자 크기를 크게 설정합니다.
- font-bold: 글자를 굵게 표시합니다.
- text-blue-600: 글자 색을 진한 파란색으로 지정합니다.
        Tailwind 적용 성공!
➡️ 화면에 표시될 텍스트입니다. 실제로 사용자가 보는 메시지입니다.
      </h1>     </div>   );
➡️ 태그를 닫고, return 구문도 닫습니다.
`export default App;`
➡️ App 컴포넌트를 다른 파일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외부에 공개합니다. 예: main.tsx에서 이 컴포넌트를 사용함.
필요하다면, 각 Tailwind 클래스도 하나하나 풀어서 예시와 함께 더 설명해드릴 수 있어요.
 
Tailwind 설명
You said:
Tailwind 클래스도 설명해줘. 어떤 파일을 봐야하는 거야?
ChatGPT said:
좋습니다! 먼저 질문을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답변드릴게요.
✅ 1. Tailwind 클래스 설명 (예시 포함)
아래는 코드에 등장한 Tailwind CSS 클래스들에 대한 설명입니다:
| 클래스명 | 의미 | 
| min-h-screen | 최소 높이를 화면 전체 높이( 100vh)로 설정해요. 화면 전체를 채우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 
| flex | Flexbox 레이아웃을 적용해서 내부 요소를 정렬하거나 배치할 수 있어요. | 
| items-center | 세로 방향(교차축)으로 요소를 가운데 정렬해요. | 
| justify-center | 가로 방향(주축)으로 요소를 가운데 정렬해요. | 
| bg-gray-100 | 배경색을 회색 계열 중 가장 밝은 색상으로 지정해요. | 
| text-4xl | 글씨 크기를 4단계 크게 설정해요. (Tailwind는 text-sm,text-lg,text-2xl등 다양한 크기 제공) | 
| font-bold | 글씨를 굵게 보여줘요. | 
| text-blue-600 | 글씨 색상을 진한 파란색 계열 중 하나로 설정해요. | 
Tailwind에서는 이렇게 기능별 클래스를 조합해서 스타일을 만듭니다.
➡️ CSS를 작성하지 않고도 HTML 속성으로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는 방식이에요.
✅ 2. Tailwind 클래스 전체 목록은 어디서 보나요?
📄 공식 문서 보기
Tailwind는 공식 문서를 아주 잘 정리해두었어요:
예를 들어:
✅ 3. 내 프로젝트에서 설정 파일은 어디 있나요?
Tailwind 설정은 보통 프로젝트 루트에 있는 다음 파일에서 확인해요:
tailwind.config.js 또는 tailwind.config.ts
이 파일에서 다음을 확인할 수 있어요:
- 사용할 색상, 폰트 크기 등 커스터마이징
- 어떤 파일에서 Tailwind 클래스를 사용할지 지정
예시:
// tailwind.config.js
module.exports = {
  content: ['./index.html', './src/**/*.{js,ts,jsx,tsx}'], // 사용 위치
  theme: {
    extend: {},
  },
  plugins: [],
}
실재로 쓰인 tailwind.config.ts파일의 내용
/** @type {import('tailwindcss').Config} */
export default {
  content: [
    "./index.html",
    "./src/**/*.{js,ts,jsx,tsx}",
  ],
  theme: {
    extend: {},
  },
  plugins: [],
}
v4부터는 vite와 연계한다고 해서 다음 사항이 포함되어 있었다.
import { defineConfig } from 'vite'
import react from '@vitejs/plugin-react'
import tailwindcss from '@tailwindcss/vite';
// https://vite.dev/config/
export default defineConfig({
  plugins: [
    react(), 
    tailwindcss(),
  ],
});
src/index.css 파일에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면:
`@import "tailwindcss";`
이건 Tailwind CSS v4에서 새롭게 도입된 방식이에요. 이전 버전과 다르게, 더 간단한 방식으로 설정이 가능해졌습니다.
React 조금 더 들어가 보기
You said:
React에서 제공하는 기능 중 하나인 useState를 가져옵니다. (※ 이 코드에서는 실제로 사용하지 않지만, 보통 컴포넌트 안에서 상태(state)를 관리할 때 사용됩니다.)
여기서 React의 대표적인 기능들을 더 소개해줘. 표로 정리 해주면 더 좋겠어.
ChatGPT said:
물론입니다!
필요하신 항목이 있으면 코드 예시나 시각화도 함께 설명드릴게요.
 
react-router-dom 살펴 보기
You said:
react 대신 react-router-dom도 쓰이던데 비슷한 것들이 있어?
ChatGPT said:
좋은 질문이에요!
react는 React의 핵심 라이브러리이고, react-router-dom은 React에서 페이지 이동(라우팅)을 구현하기 위한 라이브러리입니다.
아래에 react와 비슷하게 사용되며 함께 조합되는 대표적인 라이브러리들을 목적별로 표로 정리해드릴게요.
 
✅ React와 함께 자주 쓰이는 대표 라이브러리 비교표
| 라이브러리 이름 | 역할 및 설명 | 주로 사용하는 기능 | 비고 | 
| react | UI 구성의 핵심 라이브러리 | useState,useEffect, JSX | 필수, 앱의 뼈대 | 
| react-router-dom | 페이지 이동(라우팅) 처리 | <Route>,<Link>,useNavigate | SPA에서 URL 기반 화면 전환 | 
| react-dom | React 컴포넌트를 실제 HTML DOM에 연결 | ReactDOM.createRoot() | 브라우저용 렌더링 전용 | 
| react-redux | 전역 상태(state) 관리 | useSelector,useDispatch | 대규모 앱에서 유용 | 
| @reduxjs/toolkit | Redux를 더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 | createSlice,configureStore | Redux 표준 툴킷 | 
| react-query또는@tanstack/react-query | 서버 데이터 캐싱, 로딩, 에러 처리 자동화 | useQuery,useMutation | API 호출 + 캐싱 최적화 | 
| axios | API 통신 (HTTP 요청) | axios.get(),axios.post() | fetch보다 더 편리함 | 
| formik+yup | 입력 폼 처리 + 유효성 검사 | useFormik,validationSchema | 복잡한 폼 처리 시 유용 | 
| react-hook-form | 성능 중심의 폼 처리 라이브러리 | useForm,Controller | 가볍고 빠름 | 
| framer-motion | 애니메이션 처리 | <motion.div>,animate | Tailwind와 함께 사용 가능 | 
| classnames | 조건부 CSS 클래스 적용 | classNames('a', { b: isActive }) | Tailwind에서 자주 활용 | 
| react-helmet또는react-helmet-async | HTML <head>관리 (타이틀, 메타태그 등) | <Helmet><title>...</title></Helmet> | SEO 대응 시 사용 | 
 
📌 react-router-dom은 언제 쓰나요?
React는 기본적으로 한 페이지로 동작하는 SPA(Single Page Application) 구조입니다.
react-router-dom을 사용하면, 아래처럼 URL에 따라 다른 화면을 보여줄 수 있어요.
예시:
import { BrowserRouter, Routes, Route } from 'react-router-dom';
function App() {
    return (
        <BrowserRouter>
            <Routes>
                <Route path="/" element={<Home />} />
                <Route path="/about" element={<About />} />
            </Routes>
        </BrowserRouter>
    );
}
➡️ 이런 식으로 화면(컴포넌트)을 URL에 따라 나눌 수 있고, <Link to="/about">About</Link> 같은 내부 링크도 제공합니다.
 
돌아 보며
기본적은 React+Vite+Tailwind v4를 기본 설정하면서 관련된 코드들을 살펴 보았다. 이를 기반으로 React Frontend를 구성하는 기본 내용들을 살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