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  3장 초기 접근 방법에 다음과 같은 리엔지니어링 프로젝트 예제를 이용해서 실제 예시로 패턴에 대해 설명한다.

  • 시나리오: 사용자 팀은 의료 소프트웨어 시스템인 proDoc을 개발하고 있으며, 경쟁사인 XDoctor의 인터넷 기능을 proDoc에 통합하려고 합니다.
  • 주요 과제: 시스템을 통합하고 리엔지니어링하기 위해 첫 번째 평가와 계획을 수립하는 것입니다.

 

주요 요구사항

  1. 규모 문제: 레거시 시스템이 크고 복잡하므로 이를 관리 가능한 부분으로 나누어야 한다.
  2. 시간 부족: 프로젝트 초기에는 시간을 낭비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3. 불완전한 지식: 초기에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불완전한 지식으로 인해 잘못된 결정을 내릴 수 있다.
  4. 다양한 이해관계: 여러 이해관계자들이 서로 다른 의제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패턴 적용:

  • 유지보수자와의 담소나누기: 시스템의 역사적, 정치적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 유지보수자와 논의한다.
  • 한 시간 안에 모든 코드 읽기: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상태를 빠르게 평가하기 위해 집중적으로 코드를 검토한다.
  • 모의 설치 수행하기: 리엔지니어링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스템을 실제로 설치하고 실행해 본다.
  • 문서 스키밍하기: 관련 문서를 빠르게 검토하여 중요한 정보를 파악한다.
  • 데모 중 인터뷰하기: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람들과 인터뷰를 통해 추가 정보를 수집한다.

 

예시

예시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것의 사례에서 일어 났던 경험을 해당 패턴에 연계하여 이야기 한다.

  • XDoctor 인수: XDoctor의 개발팀에서 유일하게 남은 데이브와의 대화를 통해 중요한 기술적 정보를 얻고, 두 시스템을 통합하는 계획을 세훈다.
  • 코드 검토: Java와 C로 작성된 코드를 검토하여 시스템의 구조와 품질을 평가한다.

 

결론

리엔지니어링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초기 단계에서 정확한 평가와 계획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패턴을 적용하여 시스템의 상태와 문제를 파악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이 패턴들을 읽어 보면, 실재로 경험한 듯한 것들이 많다. 특히, 유지보수자와 담소나누기, 모의 설치하기 등은 마치 내 경험을 몰래 들여다 본 것 같은 느낌도 들 정도였다. 다른 것들의 경우도, 일부는 경험한 듯 하고 시간 제약을 두고 하는 것도 눈에 띄는 이야기였다. 무엇보다도 사회적 맥락에서 접근하는 패턴은 이 부분이 매우 실용적인 것이라는 생각도 많이 들었다. [2]에 번역 내용이 올라가 있다.

 

참고 문헌

[1] Serge Demeyer et al., "Object-oriented Reengineering Patterns"

[2] https://github.com/blcktgr73/OORP 

Object-oriented Reengineering Pattern[1]의 저자인 세르게이 디마이어의 허락을 받아 번역을 시작한다. 전에 김창준님이 내가 관심이 있겠다고 소개해서 알게된 책이기도 하다. 이 책은 출판이 된적이 있지만, 크리에이티브 커먼즈로 공개되었다. 그렇다 하더라도, 번역하는데 허락을 받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서 저자에게 연락을 하여 확인하였다. 1장의 리엔지니어링 패턴을 번역하면서 [2]에 공유하고 내용을 요약해서 적어 본다.

 

1장의 내용은 소프트웨어 리엔지니어링(Software Reengineering)에 대해 다루고 있다. 특히, 레거시 시스템의 문제를 식별하고 개선하는 다양한 방법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시스템을 더 유지보수가 가능하고 최신 요구 사항에 대응 가능하도록  조정하는 과정으로서 리엔지니어링을 설명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리엔지니어링의 필요성: 레거시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비즈니스에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비용이 들어 업그레이드나 교체가 어렵기 때문에 리엔지니어링이 필요하다.
  • 리엔지니어링의 목적: 레거시 시스템의 복잡성을 줄이고, 적절한 비용으로 시스템을 계속 사용하고 적응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 리엔지니어링의 이유: 성능 개선, 시스템을 새 플랫폼으로 이전하기 위함, 유지보수 비용 절감, 시스템에 대한 지식 문서화 등 여러 가지 구체적인 이유가 있다.
  • 리엔지니어링 과정: 문제가 있는 레거시 시스템을 식별하고, 개선 방법을 모색하여 구현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 과정에서 리버스 엔지니어링과 리엔지니어링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 리엔지니어링 패턴: 리엔지니어링 과정에서 사용되는 패턴의 양식을 소개한다.

 

참고 문헌

[1] Serge Demeyer et al., "Object-oriented Reengineering Patterns"

[2] https://github.com/blcktgr73/OORP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