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자일 학습을 하면서 기존의 방법을 통해 느끼는 대한 안티패턴을 공유해 봅니다.

 

. 회사의 업무처럼 한다.

저는 회사에서 업무를 할 때, 미리 계획을 세우고 진행합니다. 물론 계획이 필요 없다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상황이 바뀌더라도 기존에는 그 계획대로 하려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애자일 학습에서도 제가 하려는 활동을 잘 하려고 그렇게 했던 경향이 있습니다.

애자일 해지기 위해서는 상황에 대응(adaptation)하기 위해서 협업을 강조하고 피드백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빠르게 실패하는 것을 권장하며 실패를 통해서 피드백을 받고 배움을 얻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 같이 하는 사람들과의 회고 및 추가 활동을 통해서 더 배워야 합니다. 지속적이고 의도적인 연습 및 실행을 통해서 성장을 꾀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애자일 학습을 하는 동안에는  기존에 하던 것과 같은 방법 혹은 그렇게 하지 못해서 그와 완전히 반대로 한다거나 하기 보다는 애자일하게 하던 방법과 하지 않던 방법을 섞어서 하는 것을 좋습니다. 이러한 학습에서도 업무에 어려움을 반영하여 내 실재 문제를 해결하거나, 배운 것을 업무에 적용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 혼자 하려고 한다.

새로운 것을 배울 때 저는 우선 관련된 강의나 책을 먼저 찾았습니다. 특히, 책을 읽고 전문성을 높여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애자일 학습에서는 책만 읽는 것을 것을 권하지는 않습니다. 애자일적인 접근 방법으로 협력을 탐색해야 한다는 측면에서는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은 그것을 얻기 위해 책을 읽는 방법만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것을 잘하는 사람을 찾고, 그 활동을 같이 하기도 하고, 같이하면서 배우고, 배운 것을 연습하는 것을 권합니다. 저도 최근에 새롭게 배운 동기 면담의 경우, 다른 분들과 자주 연습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 중요하다는 것의 관점

최근에 코칭을 받고 있습니다. 애자일 학습을 하시는 분들께서 중요하다고 이야기 해주시는 내용 중에 하나입니다. 또한, 본인에게 중요한 문제를 가지고 코칭 받으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 중요한 문제의 관점이 달라 졌습니다. 제가 느끼는 감정의 문제, 회사 업무에서의 문제들 중에서 여러 고민을 하고 고르고 골라 코칭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정작 그 코칭을 통해서 어떻게 도움이 될까라는 문제로 돌아가 보면 선정한 문제가 중요한 문제인가에 대해 다시 질문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이미 코칭 받았던 문제들이 1년 아니 3~4년에 한 번 발생하는 문제 그리고 분기 혹은 많아야 한달에 한번 있을까 말까 하는 문제였거든요.

코칭 내용을 선정하는 가이드 중에서, 시간적 스펙트럼이 매주, 매일, 매시간에 나를 괴롭히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묻습니다. 문제가 더 중요한 문제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즉, 내, 수면, 음식, 건강의 문제, 내 평상시의 루틴한 업무와 관련된 문제가 더 중요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집중력의 문제, 음주로 인한 에너지 문제, 혹은 음식의 자제가 되지 않아 어려운 다이어트 문제, 아침에 일어났을 때의 에너지 문제가 중요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 피드백을 구하지 않는다.

애자일 학습을 하면서 멘토링 그리고 코칭의 기회가 많았습니다. 이 것이 자체로 이미 좋은 피드백이지만 애자일의 측면에서 우리가 학습하는 것들에 대해서 피드백을 찾아야 합니다(Feedback-seeking). 물론 기존에 애자일로 업무를 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회고를 가지면서 피드백을 찾는 것이 어느 정도 몸에 배어 있어 보입니다. 하지만, 이 피드백을 통해서 Action Plan이 나오고, 이를 추적하여 개선하는 것까지가 피드백 구하기라고 생각됩니다. 최근에 좋은 모임에 대한 번개에 대해서 진행할 , 쌓기 게임을 하였습니다. 우리 팀은 서로 경쟁해 보면서 누가 잘하는지 비교하기 바빴는데, 잘하시는 분들은 팀원들이 다른 사람 하는 것을 관찰하고 피드백 하던 것을 보았습니다. 우리가 업무에 적용해 본다면 어떨까요

+ Recent posts